1. 사전적 정의

순수익(순이익)은 발생한 매출에서, 비용과 세금 등 지출한 금액을 전부 빼고 ‘실제로 번 금액’만큼을 의미해요.

마진과 달리, 물건 구매액(원가)뿐만 아니라, 사업 운영 과정에서 지출했던 금액(오픈마켓 판매 수수료 등)까지 전부 제외한 금액이 순수익이에요.

  • 마진 = 판매가 - (원가 + 구매 수수료)
  • 순수익 = 판매가 - (원가 + 기타 수수료) - 판매 수수료

일반적으로, 실제로 손에 쥘 수 있는 최종 금액인 순수익을 기준으로 실질적인 사업의 성과와 수익성을 판단하곤 해요.

2. 참고하면 좋을 정보

a. 손익계산서와 순수익 📄

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매출과 비용을 정리해, 그 기간에 발생한 순수익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재무제표예요.

규모가 큰 기업에서는 정기적으로 회계 작업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손익계산서를 체계적으로 작성해요.

반면, 소규모 온라인 사업자의 경우에는 전문적인 손익계산서를 작성하기보다는 엑셀 등을 활용해 마진이나 순수익을 간단히 계산하는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해요.

3. 윈들리 기능 소개

a. 윈들리에서 순수익 설정하기 📌

윈들리의 가격 공식을 사용하면, 상품 판매 전에 마진과 순수익을 미리 계산해 볼 수 있는데요.

순수익을 더 확보하고 싶다면, 마진이나 배송비를 조정하는 방법을 추천해요!

4. 연관 단어


윈들리의 모든 콘텐츠는 사업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 한정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체적 사안에 관한 자문 또는 홍보를 위한 것이 아니므로 콘텐츠 내용의 적법성이나 정확성에 대해 보증하지 못하며, 콘텐츠에서 취득한 정보로 인해 직간접적인 손해가 발생해도 어떠한 법적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윈들리,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